이전 포스트(파이썬이 뭐에요?)에서 파이썬(Python)이란 무엇인지 살펴보고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이번에는 간단한 실습을 통해 직접 파이썬 코딩을 해봅시다.
사전 준비
명령 프롬프트(Windows) 또는 터미널(macOS, Linux)을 열고 "python"이라고 입력하여 파이썬 인터프리터를 실행하세요.
Hello, World!" 출력하기
print("Hello, World!")
이 예제는 가장 기본적인 파이썬 프로그램으로, 화면에 "Hello, World!"라는 문자열을 출력하는 예제입니다.
설명
- print()
- 파이썬의 내장 함수 중 하나로, 괄호 안에 있는 값을 화면에 출력합니다.
- "Hello, World!"
- 출력할 문자열입니다. 문자열은 따옴표(' 또는 " 사용)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이 예제에서는 더블 따옴표(")를 사용했습니다.
화면에 "Hello, World!"라는 문자열이 출력됩니다.
변수와 연산자 사용하기
a = 5
b = 3
sum = a + b
print(sum)
이 예제는 변수와 연산자를 사용하여 두 수를 더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예제입니다.
설명
- a = 5
- 변수 a에 정수값 5를 할당합니다.
- 이렇게 변수를 선언하고 값을 할당하는 것을 변수의 초기화라고 합니다.
- b = 3
- 변수 b에 정수값 3을 할당합니다.
- 마찬가지로 변수의 초기화를 수행합니다.
- sum = a + b
- 변수 a와 b의 값을 더하여 그 결과를 변수 sum에 할당합니다.
- 이 코드는 a와 b를 더한 값을 sum에 저장하는 연산을 수행합니다.
- print(sum)
- 변수 sum에 저장된 값을 print() 함수를 사용하여 화면에 출력합니다.
화면에 8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조건문 사용하기
score = 80
if score >= 90:
print("A")
elif score >= 80:
print("B")
else:
print("C")
이 예제는 조건문을 사용하여 시험 점수에 따라 학점을 출력하는 예제입니다.
설명
- score = 80
- 변수 score에 정수값 80을 할당합니다. 이는 학생의 점수를 나타내는 변수입니다.
- if score >= 90:
- 만약 score가 90 이상이라면 다음 블록의 코드를 실행합니다.
- 이는 score가 90 이상일 경우 "A" 학점을 출력하기 위한 조건문입니다.
- elif score >= 80:
- 그렇지 않고, score가 80 이상이라면 다음 블록의 코드를 실행합니다.
- 이는 score가 80 이상일 경우 "B" 학점을 출력하기 위한 조건문입니다.
- elif는 "else if"의 약어로, 이전 조건이 참이 아닐 때 다음 조건을 검사합니다.
- else:
- 그렇지 않다면, 즉 모든 이전 조건이 거짓일 경우 다음 블록의 코드를 실행합니다.
- 이는 score가 80 미만인 경우 "C" 학점을 출력하기 위한 조건문입니다.
- print("A"), print("B"), print("C")
- 각각의 조건에 해당하는 학점을 출력하는 코드입니다.
- 해당하는 조건이 참일 경우에만 해당하는 print() 함수가 실행되어 학점이 출력됩니다.
score 변수의 값에 따라 "A", "B", "C" 중 하나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복문 사용하기
for i in range(1, 6):
print(i)
이 예제는 반복문을 사용하여 1부터 5까지의 숫자를 출력하는 예제입니다.
설명
- for i in range(1, 6):
- range() 함수는 연속된 숫자를 생성하는 함수로, range(1, 6)은 1부터 6 미만까지의 숫자를 생성합니다.
- for 키워드를 사용하여 반복문을 시작합니다.
- i는 반복 변수로, range() 함수가 생성한 숫자들이 차례대로 i에 할당되며 반복문이 실행됩니다.
- print(i): 반복문 내에서 i의 값을 출력합니다.
- i는 1부터 5까지의 값을 가지므로, 반복문이 5번 실행되며 1부터 5까지의 숫자가 차례대로 출력됩니다.
실행하면 1부터 5까지의 숫자가 각각 한 줄씩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함수 정의와 호출하기
def greet(name):
print("Hello, " + name + "!")
greet("Alice")
이 예제는 함수를 정의하고 호출하는 예제입니다. greet 함수는 인자로 이름을 받아 환영 메시지를 출력하는 함수입니다.
설명
- def greet(name):
- greet라는 이름의 함수를 정의합니다.
- 함수는 def 키워드를 사용하여 정의하며, 함수 이름인 greet 다음에 괄호 ()가 오고, 괄호 안에는 함수의 인자(매개변수)인 name이 선언됩니다.
- :은 함수 정의의 끝을 나타냅니다.
- print("Hello, " + name + "!")
- 함수 내부에는 "Hello, "과 name 변수의 값, 그리고 "!"을 문자열 연결(+)을 사용하여 결합하여 출력하는 코드가 있습니다.
- name은 함수의 인자로 전달된 값으로, 함수가 호출될 때마다 다양한 값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 greet("Alice")
- greet 함수를 호출하면서 "Alice"를 인자로 전달합니다. 함수는 전달된 인자를 name 변수에 할당하고, 해당 값을 사용하여 인사말을 출력합니다.
실행하면 "Hello, Alice!"라는 인사말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리스트와 반복문 사용하기
numbers = [1, 2, 3, 4, 5]
for num in numbers:
print(num)
이 예제는 리스트와 반복문을 사용하여 리스트의 원소를 출력하는 예제입니다.
설명:
- numbers = [1, 2, 3, 4, 5]
- numbers라는 이름의 리스트를 정의하고, [1, 2, 3, 4, 5]라는 값으로 초기화합니다.
- 리스트는 대괄호 []를 사용하여 정의되며, 쉼표로 구분된 요소들의 집합입니다.
- for num in numbers:
- for 키워드를 사용하여 numbers 리스트의 각 요소를 순회하는 반복문을 시작합니다.
- num은 반복 변수로, numbers 리스트의 요소들이 차례대로 num에 할당되며 반복문이 실행됩니다.
- print(num)
- 반복문 내에서 num의 값을 출력합니다.
- num은 numbers 리스트의 요소들의 값들이 차례대로 할당되므로, 리스트의 각 숫자가 차례대로 출력됩니다.
numbers 리스트에 있는 숫자들이 각각 한 줄씩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일 입출력 사용하기
# 파일 쓰기
with open("output.txt", "w") as f:
f.write("Hello, File!")
# 파일 읽기
with open("output.txt", "r") as f:
data = f.read()
print(data)
이 예제는 파일을 쓰고 읽는 예제입니다. "Hello, File!"이라는 내용을 가진 파일을 쓰고, 그 파일을 읽어서 내용을 출력하는 예제입니다.
설명:
- with open("output.txt", "w") as f:
- output.txt라는 파일을 쓰기 모드("w")로 열고, 파일 객체를 f로 지정합니다.
- with문은 파일을 자동으로 닫아주는 기능을 제공하며, f라는 파일 객체를 사용하여 파일에 접근합니다.
- f.write("Hello, File!")
- f 파일 객체를 사용하여 "Hello, File!"이라는 문자열을 파일에 씁니다.
- 파일에는 해당 문자열이 기록됩니다.
- with open("output.txt", "r") as f:
- output.txt라는 파일을 읽기 모드("r")로 열고, 파일 객체를 f로 지정합니다.
- data = f.read()
- f 파일 객체를 사용하여 파일을 읽어와 data라는 변수에 저장합니다.
- read() 메서드는 파일의 모든 내용을 문자열 형태로 읽어옵니다.
- print(data)
- data 변수에 저장된 파일의 내용을 출력합니다.
- 파일에 저장된 "Hello, File!"이라는 문자열이 출력됩니다.
"output.txt"라는 파일을 쓰기 모드로 열어 "Hello, File!"이라는 문자열을 파일에 기록한 후, 다시 읽기 모드로 열어 파일의 내용을 읽고 출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