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파이썬(Python) 자료형 - 숫자형을 살펴보자

programming/python

by 바둑이들 2023. 4. 9. 16:32

본문

Number type

 

파이썬은 다양한 자료형을 지원하며, 그 중에서도 숫자형은 매우 중요한 자료형 중 하나입니다.

숫자형은 수치 데이터를 표현하고 다양한 연산을 수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파이썬에서의 숫자형은 크게 정수형(Integer), 실수형(Float), 복소수형(Complex)으로 나뉩니다.


정수형(Integer)

정수형은 소수점이 없는 정수 값을 나타내는 자료형입니다. 파이썬에서는 양의 정수, 음의 정수, 0을 모두 정수형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파이썬에서는 매우 큰 정수도 표현이 가능하며, 오버플로우와 같은 제한이 없습니다. 정수형은 사칙연산, 비트 연산, 비교 연산 등 다양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 = 10과 같이 변수에 정수 값을 할당할 수 있습니다.

실수형(Float)

실수형은 소수점이 있는 실수 값을 나타내는 자료형입니다. 파이썬에서는 소수점 표현을 위해 부동소수점 방식을 사용합니다.

실수형은 소수 연산, 실수 함수, 수학적 연산 등에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b = 3.14와 같이 변수에 실수 값을 할당할 수 있습니다.

복소수형(Complex)

복소수형은 실수부와 허수부로 이루어진 복소수 값을 나타내는 자료형입니다. 파이썬에서는 j J를 사용하여 허수부를 표현합니다.

복소수형은 수학적인 계산, 신호 처리, 공학 등에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c = 3 + 4j와 같이 변수에 복소수 값을 할당할 수 있습니다.

 

예제

# 정수형 변수 할당
a = 10
b = 20

# 실수형 변수 할당
c = 3.14
d = 2.718

# 복소수형 변수 할당
e = 3 + 4j
f = 1 - 2j

 


숫자형 연산자

덧셈 연산 (+)

  • 두 정수를 더합니다.

뺄셈 연산 (-)

  • 두 정수를 빼서 차를 구합니다.

곱셈 연산 (*)

  • 두 정수를 곱합니다.

나눗셈 연산 (/)

  • 두 정수를 나누어 결과를 실수형으로 반환합니다.

몫 연산 (//)

  • 두 정수를 나눈 후 몫을 정수형으로 반환합니다.

나머지 연산 (%)

  • 두 정수를 나눈 후 나머지를 반환합니다.

거듭제곱 연산 (**)

  • 정수를 거듭제곱한 값을 구합니다.

예제

# 숫자형 변수 할당
a = <숫자형 데이터>
b = <숫자형 데이터>

# 덧셈 연산
sum = a + b
print("합:", sum)

# 뺄셈 연산
sub = a - b
print("차:", sub)

# 곱셈 연산
mul = a * b
print("곱:", mul)

# 나눗셈 연산
div = a / b
print("나누기:", div)

# 거듭제곱 연산
power = a ** 2
print("제곱:", power)

 


숫자형 내장 함수

숫자형은 다양한 내장 함수와 메소드를 제공합니다. 다음은 숫자형 내장함수의 기본적인 사용법을 보여줍니다.

더 다양한 내장함수의 사용법과 기능은 공식 파이썬 문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bs(x)

  • 주어진 수(x)의 절댓값을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print(abs(-5))   # 출력: 5
print(abs(3.14))  # 출력: 3.14

int(x[, base])

  • 주어진 인자(x)를 정수형으로 변환하는 함수입니다.
print(int('123'))        # 출력: 123
print(int('1010', 2))    # 출력: 10 (2진수 '1010'를 10진수로 변환)
print(int('0xff', 16))   # 출력: 255 (16진수 '0xff'를 10진수로 변환)

bin(x)

  • 주어진 정수(x)를 이진수 문자열로 변환하는 함수입니다.
print(bin(10))  # 출력: '0b1010'
print(bin(255)) # 출력: '0b11111111'

oct(x)

  • 주어진 정수(x)를 8진수 문자열로 변환하는 함수입니다.
print(oct(10))  # 출력: '0o12'
print(oct(255)) # 출력: '0o377'

hex(x)

  • 주어진 정수(x)를 16진수 문자열로 변환하는 함수입니다.
print(hex(15))  # 출력: '0xf'
print(hex(255)) # 출력: '0xff'

divmod(a, b)

  • a를 b로 나눈 몫과 나머지를 튜플 형태로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print(divmod(10, 3)) # 출력: (3, 1) (10을 3으로 나눈 몫이 3, 나머지가 1)

pow(x, y[, z])

  • x의 y 제곱을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z가 제공되면, x의 y 제곱을 z로 나눈 나머지를 반환합니다.
print(pow(2, 3))   # 출력: 8
print(pow(2, 3, 5)) # 출력: 3 (2의 3제곱을 5로 나눈 나머지가 3)

round(x[, n])

  • x를 소수점 이하 n 자리까지 반올림한 값을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n이 생략되면, 기본값은 0이며, x를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한 값을 반환합니다.
print(round(3.14159, 2)) # 출력: 3.14
print(round(4.5))         # 출력: 4

 

참고사항

파이썬의 숫자형은 변수에 값을 할당하거나 연산을 수행할 때 주의해야 할 몇 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수형과 실수형의 연산은 결과가 실수형으로 반환되며, 정확한 실수 연산을 위해서는 부동소수점의 한계를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숫자형은 변수의 값이 변경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변수에 숫자 값을 할당하면 해당 변수의 값이 변경되며,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면 참조에 의한 복사가 이루어집니다.

 

파이썬은 숫자형 외에도 다양한 수학 라이브러리를 제공하여 고급 수학 연산을 지원합니다.

예를 들어, NumPy, SciPy, math 등의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과학적이고 통계적인 계산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