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bby/fishing

초보자를 위한 광어 다운샷(aka 광따) 가이드 (1/2) - 장비 및 채비 편

바둑이들 2023. 12. 8. 01:45

 

장비

낚시대 (road)

👉 대여 가능 (낚시대+릴 1~2만원 정도)

  • 정말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사이즈, 강도, 휨새, 액션 등등등…)
  • 대충 30~40호 봉돌(약 115~150g)을 커버할 수 있는, 허리가 약간 빳빳하고 초리대 부분만 휘어지는 2m 전후의 낚시대를 쓰면 됨

릴 (reel)

👉 대여 가능 (낚시대+릴 1~2만원 정도)

  • 릴은 낚시 줄을 감는 장치로, 종류는 크게 베이트릴과 스피닝릴이 있음
베이트릴 스피닝릴
  • 선상에서는 보통 베이트릴을 사용함
  • 베이트릴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기어비, 스풀 양, 전동유무, 수심측정유무 등등등…)
  • 기어비는 핸들 1회 회전시 스풀 몇 바퀴 회전하는지 비율로 나타낸 것으로, 대부분 4~8점대 정도로 형성되어있음
  • 기어비가 높을 수록 라인 회수량(빨리 감을 수 있)이 높으나, 파워가 딸림
  • 대충 기어비 5~6점대의 베이트릴이면 됨

 

베이트릴 사용법

👉 썸바 누르고 핸들 돌리고만 할 줄 알면 90%

스플

- 낚시줄이 감기는 곳
썸바

- 아래로 누르면 고정이 되며 낚시줄을 풀 수 있음
   - 낚시줄이 풀리는 방향으로 스플을 회전할 수 있게 해줌

- 낚시줄이 풀리지 않게 다시 올리려면 핸들을 돌리면 됨
   - 낚시줄이 풀리는 방향으로 스플을 회전하지 못하게 막아줌
핸들

- 낚시줄을 감는 장치
   - 스플을 감는 방향으로 회전 시킴
드랙 (스타드랙)
- 앞서 말했듯이 스플은 기본적으로 썸바가 눌리지 않았다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음

- 하지만 (큰)고기가 걸렸을때 풀리는 방향으로 아예 회전하지 않으면 장비에 무리가 갈 수 있음
   - 강한 힘이 작용하는 경우 낚시줄이 터지거나 낚시대가 부러질 수 있음

-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 범위(조절가능) 이상의 힘이 발생하면 라인이 풀리게 해줌

- 고기가 물었을때 드랙 조절은 금지 (터질 위험 있음). 낚시 전 드랙력 체크하고 설정해 주는게 좋음

👉 드랙력은 꽉 잠그고(낚시줄을 손을로 당겼을때 풀리지 않는 방향으로 돌림) 7~10 단계 정도 풀면 됨
채비

 

 

👉 매듭법 여러개를 배워야해서 기성 채비(쇼크리더+바늘) 쓰면 편함

낚시줄 (line)

👉 낚시대 대여시 원줄은 빌린 릴에 감겨있는거 쓰면되고 쇼크리더는 기성채비 쓰면됨

  • 낚시줄은 크게 합사, 카본, 모노 라인이 있음
    • 합사 라인
      • 여러 가닥의 실을 꼬아 만든 낚시줄. 꼬여있는 가닥 수에 따라 4합사, 8합사, 12합사 이런식으로 불림
      • 장점 : 강한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고 있음, 신축성이 없어 입질 또는 바닥 걸림 등의 전달이 잘 됨
      • 단점 : 신축성이 없어 순간적인 힘을 주었을때 터질 수 있음, 쓸림과 긁힘에 약해 바위나 장애물이 많은 곳에서 사용하기 힘듬
    • 카본 라인
      • 카본 섬유 재질로 만든 낚시줄. 1가닥임
      • 장점 : 합사/모노 사이의 적당한 신축성, 쓸림과 긁힘에 강해 바위나 장애물이 많은 곳에서 사용하기 좋음
      • 단점 : 비싼편임, 매듭 강도가 좋지 않음
    • 모노 (모노필라멘트) 라인 (나일론 줄이라고도 불림)
      • 나일론이나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만든 낚시줄. 1가닥임
      • 장점 : 신축성이 좋아 후킹(챔질)시 완충 작용이 됨
      • 단점 : 자외선과 화학물질 등에 민감하여 내구성이 좋지 않음, 신축성이 좋아 입질 또는 바닥 걸림 등의 전달이 잘 안됨
  • 광어 다운샷에서는 보통 다음과 같이 사용함
원줄
- 릴에 감는 낚시줄
- 합사 라인 0.8~1.5호 정도
목줄 (쇼크리더)
- 원줄(합사)의 단점인 신축성과, 내마모성을 보완하기위해 원줄에 연결하여 사용
- 카본 라인 4~6호 정도
기성채비 안쓰고 자작 채비를 사용하면 돈은 아낄 수 있으나, 원줄-쇼크리더용 매듭(직결), 쇼크리더-바늘용 매듭(팔로마노트, 스넬노트 등), 쇼크리더-봉돌용 매듭 (도래매듭) 등을 배워야함. 매듭에 시간도 많이걸려서 걍 기성채비 고 (낚시 안하는날 미리 만들어 논다고하는데 그정도까진 못하겠음)

바늘 (hook)

  • 주로 사용되는 바늘은 스트레이트 훅과 와이드갭 훅이 있음
스트레이트 훅 와이드갭 훅

스트레이트 훅

  • 장점 : 후킹(챔질)을 하지 않아도 고기가 걸릴 확률이 있음
  • 단점 : 바늘이 노출되어 있어 훅이 바닥에 닿는 경우 밑걸림에 취약함

와이드갭 훅

  • 장점 : 바늘이 노출되어 있지 않다 밑걸림에 강함, 큰 차이 없긴하지만 스트레이트 훅에 비해 랜딩(고기를 물 밖으로 꺼네는 행위) 중 바늘털이 시 고기가 빠질 확률이 조금 적다고 함
  • 단점 : 입질시 정확한 후킹(챔칠)을 해주어야 고기를 걸 수 있음

루어 (Lure); 가짜 미끼

  • 루어도 엄청 많은 종류가 있지만 광어 다운샷에서는 웜(Worm) 그중에서 5인치 섀드웜을 주로 사용함
  • 일반적으로 물색이 탁하거나 흐린 날에는 어두운 계열의 웜, 밝은 날에는 펄이들어간 웜을 사용하면 좋다고 하는데 절대적인건 아님

👉 대체로, 그날 그날 잘 받는 웜 색깔이 있다고 하니 다른 사람들(잘잡는)이 무슨 색 쓰는지 눈팅 잘하며 베껴 쓰면 좋음

👉🚨 "바늘에 웜 끼는 법" 유투브로 필수 시청!!!

봉돌 (sinker)

  • 채비를 가라앉을 수 있도록하는 추
  • 주로 30~40호(112.5g~150g) 봉돌을 사용
  • 일반적으로 40호를 사용하고
  • 물이 느리게 가거나, 바닥이 험하거나, 날이 적당하거나, 한번 써보고 싶거나, 선장이 30호 쓰라고 할때 30호 사용하면됨

 

 

다음 포스트 >> 초보자를 위한 광어 다운샷(aka 광따) 가이드 (2/2) - 운용, 후킹(챔질), 랜딩 편

댓글수2